2022년 2월 러시아의 전면 침공으로 시작된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은 2025년에도 여전히 유럽과 세계의 중심 이슈로 남아 있다. 치열한 전투, 평화 협상의 진전과 좌절, 국제 사회의 갈등, 그리고 인도적 위기까지. 이 글에서는 2025년 6월 기준 최신 전황과 주요 동향을 심층적으로 다룬다. 지금부터 이 전쟁의 현재와 미래를 함께 살펴보자!
1. 전황: 치열한 공방과 러시아의 점진적 진격
2025년,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은 여전히 소모전 양상을 보이고 있다. 러시아는 동부 돈바스 지역(돈etsk, Luhansk)과 남부 지역에서 점진적인 영토 확장을 시도하고 있으며, 특히 Pokrovsk와 Vuhledar 같은 전략적 요충지에서 공세를 강화하고 있다. 미국 전쟁연구소(ISW)에 따르면, 러시아는 2024년 약 4,000㎢의 우크라이나 영토를 추가로 점령했으며, 현재 우크라이나 영토의 약 20%를 장악하고 있다.
[](https://www.cfr.org/global-conflict-tracker/conflict/conflict-ukraine)
우크라이나는 동부 전선에서 방어선을 유지하며, 특히 Kharkiv와 Sumy 지역에서 러시아의 공세를 저지하고 있다. 그러나 탄약 부족과 병력 손실로 인해 전선 유지에 어려움을 겪고 있다. 우크라이나는 2024년 8월 러시아 Kursk 지역에 대한 대담한 반격을 시도했으나, 러시아의 반격으로 대부분의 점령지를 상실했다.
[](https://www.bbc.com/news/articles/c0l0k4389g2o)
주요 전황 요약
지역 | 상황 | 주요 사건 |
---|---|---|
돈바스 | 러시아의 점진적 진격 | Pokrovsk, Vuhledar 점령 시도 |
Kharkiv | 우크라이나 방어 지속 | 러시아의 대규모 드론 공격 |
Kursk(러시아) | 우크라이나 반격 후 퇴각 | 2024년 8월 우크라이나 점령 시도 |
러시아는 드론과 미사일 공격을 강화하며 우크라이나의 민간 인프라를 타격하고 있다. 2025년 5월 24~25일, 러시아는 전쟁 사상 최대 규모의 드론 및 미사일 공격을 감행, 355대의 드론과 9발의 미사일을 사용해 Kyiv, Odesa 등 주요 도시를 공격했다. 이로 인해 최소 30명의 민간인이 사망하고 163명이 부상했다.
[](https://www.nytimes.com/2025/05/26/world/europe/russia-ukraine-war-new-phase.html)
2. 평화 협상: 이스탄불 회담과 갈등
2025년, 러시아와 우크라이나 간 평화 협상은 이스탄불에서 재개되었으나 진전은 미미하다. 러시아는 6월 2일 추가 협상을 제안했으나, 우크라이나는 러시아가 제안한 협상 조건이 구체적이지 않다고 비판하며 참여 여부를 확정하지 않았다. 러시아는 NATO의 동진 금지, 크림반도 및 돈바스 지역의 러시아 영유권 인정 등을 요구하며 강경한 입장을 유지하고 있다.
[](https://www.theguardian.com/world/ukraine)[](https://x.com/Reuters/status/1926745212266651677)
우크라이나 대통령 볼로디미르 젤렌스키는 1991년 국경 회복, 러시아의 전쟁 배상, 전범 처벌을 핵심 요구사항으로 내세웠으나, 2024년 말부터 NATO 가입을 조건으로 영토 반환을 외교적으로 해결할 가능성을 시사했다. 그러나 미국 트럼프 행정부의 압박으로 우크라이나는 크림반도를 러시아 영토로 인정하는 방안을 검토 중이라는 보도가 나오며 논란이 되고 있다.
[](https://www.brookings.edu/articles/russia-ukraine-after-three-years-of-large-scale-war/)[](https://www.cfr.org/global-conflict-tracker/conflict/conflict-ukraine)
트럼프 대통령은 러시아와 우크라이나 간 즉각적인 휴전 협상을 촉구했으나, 러시아의 지속적인 공격으로 협상이 지연되고 있다. 트럼프는 푸틴 대통령이 협상을 의도적으로 지연시키고 있다고 비판하며, 추가 제재 가능성을 언급했다.
[](https://x.com/Reuters/status/1927914038538760611)[](https://x.com/Reuters/status/1927853640670400737) 최신 평화 협상 뉴스 확인하기
3. 국제 사회의 반응과 지원
국제 사회는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에 대해 엇갈린 반응을 보이고 있다. 미국은 2022년 이후 우크라이나에 1,180억 달러 이상의 지원을 제공했으나, 트럼프 행정부는 추가 군사 지원을 주저하고 있다. 유럽연합(EU)은 러시아의 불법 유류 수송 선박 200척에 대한 제재를 강화하며 우크라이나 지원을 지속하고 있다. 독일은 우크라이나 내 드론 및 무기 생산 협력을 약속하며 새로운 군사-산업 협력 방안을 발표했다.
[](https://www.cfr.org/global-conflict-tracker/conflict/conflict-ukraine)[](https://www.dw.com/en/russias-war-in-ukraine/t-60931789)[](https://x.com/Reuters/status/1927654691485184185)
그러나 유럽 내에서도 지원 피로감이 커지고 있다. 독일, 프랑스 등은 재정적 부담과 에너지 위기로 인해 지원 규모를 축소할 가능성이 제기된다. 반면, 러시아는 중국, 이란, 북한과 협력을 강화하며 제재를 우회하고 있다. 특히, 북한은 러시아에 미사일 및 포탄을 포함한 2만 컨테이너 분량의 군사 장비를 공급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https://www.brookings.edu/articles/how-the-war-in-ukraine-changed-russias-global-standing/)[](https://www.theguardian.com/world/ukraine)[](https://x.com/AP/status/1924794040853103060)
주요 국가의 입장
- 미국: 휴전 중재 시도, 군사 지원 축소 우려
- EU: 제재 강화 및 우크라이나 재정·군사 지원
- 중국: 러시아와의 전략적 파트너십 강화
- 한국: 인도적 지원 중심, 직접 군사 개입은 회피
4. 인도적 위기와 전쟁의 여파
전쟁은 우크라이나와 러시아 모두에 심각한 인도적 위기를 초래했다. 우크라이나에서는 2022년 이후 4만 명 이상의 민간인 사상자가 발생했으며, 370만 명이 국내 실향민, 690만 명이 해외로 피난을 떠났다. 러시아의 지속적인 민간 인프라 공격은 에너지 공급망을 파괴하며 우크라이나 주민들의 생존을 위협하고 있다. 마리우폴에서는 93%의 고층 아파트가 파괴되었으며, 이러한 공격은 전쟁범죄로 조사 중이다.
[](https://www.cfr.org/global-conflict-tracker/conflict/conflict-ukraine)[](https://www.hrw.org/tag/russia-ukraine-war)
러시아 내부에서도 전쟁의 여파가 심각하다. 2024년 11월 기준, 러시아는 약 45,690명의 병력을 잃었으며, 하루 평균 1,500명의 사상자가 발생하고 있다. 전쟁으로 인한 인구 유출도 심각하다. 2022년 이후 37만~82만 명의 러시아인이 해외로 이주했으며, 이는 장기적인 인구 위기를 초래할 전망이다.
[](https://en.wikipedia.org/wiki/Russian_invasion_of_Ukraine)[](https://en.wikipedia.org/wiki/Russian_invasion_of_Ukraine)
인도적 위기 주요 수치
항목 | 우크라이나 | 러시아 |
---|---|---|
민간인 사상자 | 4만 명 이상 | 확인 불가 |
실향민 | 370만 명 | 최소 37만 명 이주 |
인프라 파괴 | 6만 헥타르 이상의 숲 파괴 | 군사 장비 손실 1.4만 대 |
5. 경제적 영향과 글로벌 여파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은 글로벌 경제에 심각한 영향을 미치고 있다. 러시아의 에너지 수출은 제재로 인해 감소했으나, 여전히 중국, 인도 등 비서방 국가로의 수출로 수익을 유지하고 있다. 러시아의 화석연료 수익은 우크라이나에 제공된 원조의 3배에 달한다. 이는 러시아가 전쟁을 장기화할 수 있는 재정적 기반을 제공한다.
[](https://www.bbc.com/news/war-in-ukraine)
우크라이나는 농업 및 무역 기반이 붕괴되며 경제적 어려움을 겪고 있다. 전쟁은 글로벌 식량 및 에너지 가격 상승을 초래했으며, 특히 아프리카와 중동 지역에서 식량 안보 위기를 악화시켰다. 한국 경제도 간접적 영향을 받고 있다. 에너지 가격 상승과 글로벌 공급망 불안정은 한국의 수출 중심 경제에 부담을 주고 있으며, 기업들은 대체 공급망 구축에 나서고 있다.
[](https://www.chathamhouse.org/2023/02/seven-ways-russias-war-ukraine-has-changed-world)
글로벌 경제 영향
- 에너지 위기: 러시아 가스 수입 감소로 유럽의 에너지 가격 급등
- 식량 안보: 우크라이나 곡물 수출 감소로 글로벌 식량 가격 상승
- 공급망: 반도체, 원자재 공급망 재편 필요
6. 한국과 전쟁: 인도적 지원과 외교적 대응
한국은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에 직접적인 군사 개입을 피하며 인도적 지원에 집중하고 있다. 2024년까지 한국은 우크라이나에 약 2억 달러 규모의 인도적 지원을 제공했으며, 재건 지원 프로젝트에도 참여하고 있다. 그러나 러시아의 북한과의 군사 협력 강화는 한국에 안보 위협으로 작용하고 있다.
[](https://x.com/AP/status/1924794040853103060)
한국 정부는 러시아에 대한 제재에 동참하며, 동시에 러시아 및 중국과의 외교적 균형을 유지하려 노력 중이다. 기업들은 러시아 시장에서의 철수와 함께 아세안 및 인도 시장으로의 다변화를 모색하고 있다. 개인 투자자라면, 전쟁의 장기화로 수혜를 받을 가능성이 높은 방산주(예: 한화에어로스페이스)나 대체 에너지 관련 주식에 주목할 만하다.
7. 전쟁의 미래: 전망과 도전
2025년,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은 여전히 해결의 기미가 보이지 않는다. 러시아의 군사적 우위와 우크라이나의 저항, 그리고 국제 사회의 엇갈린 입장은 전쟁을 소모전으로 몰아가고 있다. 전문가들은 러시아가 인력과 자원의 우위를 바탕으로 장기전을 준비하고 있다고 분석한다. 반면, 우크라이나는 서방의 지원 없이는 전선 유지가 어려운 상황이다.
[](https://www.understandingwar.org/backgrounder/ukraine-conflict-updates)
평화 협상의 성공 여부는 러시아와 우크라이나의 상호 양보에 달려 있다. 그러나 푸틴 대통령의 강경한 입장과 젤렌스키의 국경 회복 요구는 협상의 진전을 가로막고 있다. 트럼프 행정부의 중재 역할도 불확실성을 더하고 있다. 전쟁이 장기화될 경우, 글로벌 경제와 안보 환경은 더욱 불안정해질 가능성이 크다.
8. 개인이 할 수 있는 일: 인도적 지원과 정보 공유
전쟁의 여파 속에서 개인도 작은 변화를 만들 수 있다. 다음은 실천 가능한 방법들이다.
인도적 지원 참여
국제 구호 단체(예: 유니세프, 적십자)를 통해 우크라이나 난민을 위한 기부에 참여할 수 있다. 소액 기부도 큰 변화를 만들 수 있으며, 한국 내에서도 관련 캠페인에 동참할 수 있다.
정보 공유
전쟁 관련 정확한 정보를 소셜 미디어를 통해 공유하며 인식을 높이자. 가짜 뉴스에 주의하고, 신뢰할 수 있는 출처(예: BBC, Reuters)를 참고해 정보를 전달하자.
지속적 관심
전쟁이 장기화되며 국제적 관심이 줄어들고 있다. 지속적인 관심과 토론을 통해 우크라이나의 상황을 잊지 않도록 하자.
행동 제안: 매달 소액 기부를 설정하거나, 지역 커뮤니티에서 우크라이나 지원 캠페인을 조직해보세요.
9. 결론: 지속적인 관심과 대응의 필요성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은 단순한 지역 갈등을 넘어 글로벌 안보와 경제에 심대한 영향을 미치고 있다. 2025년, 전쟁은 여전히 치열하며 평화 협상의 전망은 불투명하다. 국제 사회의 지원, 인도적 위기 대응, 그리고 개인의 작은 실천이 이 갈등의 해결에 기여할 수 있다. 지금 바로 전쟁의 최신 상황을 이해하고, 현명한 대응 방안을 모색해보자!